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494)
[가설구조물] 가설구조물(假設構造物)의 정의, 종류, 구조계산 필요성 가설구조물(假設構造物)이라는 카테고리를 추가하였습니다. 항상 설계업무를 진행하면서 확실하게 알고 넘어가야 하는 부분부터 실제 업무를 하면서 터득한 부분까지 다양하게 내용을 알고 있지만, 정리가 안되었습니다. 이에 조금 체계적으로 정립을 하기 위해서 이것저것 준비하고, 정리해 봅니다. 가설구조물의 정의 토목을 설계하는 사람이 보았을 때 가설구조물(假設構造物)은 매우 중요한 구조물이지만, 본 구조물이 시공되면 사라지는 임시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상당히 포괄적인 개념이지만, 어찌 되었든 시공시 꼭 필요한 구조물임은 분명합니다. 사전적인 가시설구조물 건설공사에 있어서 가설구조물은 건축물 또는 구조물의 시공을 위해 필요한 설비이지만, 공사가 완료되면 불필요하게 되어 해체 철거되는 것이며, 일반적으로 비..
[시험정보] 2024년 토목구조기술사 자격검정 시행, 시험일정, 출제기준, 시험과목 등 총정리 토목구조기술사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기능/기술분야, 건설 직무 분야 등급의 국가기술자격을 시험합니다. 2024년 토목구조기술사 자격검정은 한국산업인력공단 시행 기술사 정기검정 3회차 인 132회, 133회, 134회를 시행합니다.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운영하는 웹사이트 큐넷(Q-net)에서 접수기간에 원서접수를 할 수 있습니다. 큐넷 홈페이지 주소 : www.q-net.or.kr Q-Net 자격의 모든 것 www.q-net.or.kr 토목구조기술사 자격검정 출제기준 출처 : 큐넷 홈페이지 토목구조기술사 자격검정에 대한 출제기준에 관련된 파일입니다. 2023년부터 2026년까지의 동일한 기준의 필기와 면접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출처는 큐넷 홈페이지에 있음을 밝힙니다.) 토목구조기술사 필기시험 시험..
[삼각형도심] 일반삼각형 ABC의 도심구하기 토목구조기술사의 기출문제 책자에 나온 문제를 통해 일반삼각형의 단면1차 모멘트를 통해 도심을 구하는 것을 풀어보았습니다. 그리고, 그에 대한 문제 풀이에서 체크해야 할 것들에 대해서 자세히 정리해 봅니다. 차근차근 다양한 정보를 수기로 풀어보고, 공유합니다. 문제 : 삼각형 ABC의 도심을 구하시오. 단, 단위는 m로 한다.토목구조기술사 제 52회 기출문제이고 10점짜리 문제입니다. 앞으로는 출제가 될 확률이 적지만, 기본적으로 도형의 도심, 단면1차모멘트에 대한 개념을 정리할 수 있는 시간이 될 수 있습니다. 가장 기본적으로 도심의 개념과 단면 1차 모멘트의 개념을 확실히 알고 나서야 풀이과정이 눈에 들어올 것입니다. 도심(Centroids of Areas)평면 상 면적의 도심(Centroid) 위치는..
[출장일기] 업무차 따뜻한 제주도를 방문하고 업무차 정해진 날짜에 한달에 한번은 방문하는 제주도의 현장에 다녀온 것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힘든 일정이지만, 기록을 차근차근함으로써 나의 역사가 되고 기록이 될 것입니다. 가면서 의미를 가지고 방문을 할 것이고, 다양한 시공적인 측면과 기술적인 측면을 매칭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 같습니다. 차곡차곡 쌓이는 시간만큼이나 그를 잘 정리하고 잊어버리면 다시 되새길 수 있는 기록이 중요한 의미가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다양한 정보와 경험을 기록하고, 공유합니다. 새벽 김포공항을 바라보며 김포공항은 대략 5시경 불이 켜지는 것 같습니다. 일전에 불안한 마음에 새벽 비행기를 탑승하기 위해 하루 전날 왔을 때 공항의 불은 꺼져 있었고, 새벽 5시가 되어서야 불이 켜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럴 ..
[토목공부] 변형에너지 (Strain Energy) 사전적인 의미에서 변형에너지(Strain Energy)는 변형된 탄성체에 저장되는 일종의 위치에너지를 가리킵니다. 물체에 외력이 가해지면 이 힘에 대한 일이 물체에 저장되는데, 탄성한계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물체가 원래 상태로 돌아오기 위해 변형에너지가 쓰이고, 탄성한계를 넘을 경우 에너지가 열에너지 등으로 변합니다. 변형에너지 이론 재료가 Hooke의 법칙을 따르는 선형탄성인 구조물에 서서히 외력이 작용하면 에너지 보존법칙에 의해 외적인 모든 일은 내적인 탄성변형에너지로 구조물에 축척된다는 개념이 변형에너지(Strain Energy) 이론입니다. 변형에너지(Strain Energy)는 구조물에 하중이 작용하면 그 과정에서 하중 P는 천천히 길이 δ만큼 이동하므로 그 양만큼 일(Work)을 하게 됩니다...
[교육자료] 교량구조물_강구조교량 콘크리트 교량도 상당히 많이 차지하고 있지만, 강구조교량도 곳곳에 많이 시공되고 있는 것을 주위깊게 살펴보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만큼 많이 사용되고 있는 교량의 형식이고, 다양한 형태의 교량을 시공할 수 있습니다. 강합성교 강합성교량은 강(Steel)이 주재료가 되어서 콘크리트와 합성단면을 이루어 교량의 상부를 이루는 형태를 일컫는 말입니다. 강박스 거더교 강박스 거더교는 Steel box Girder Bridge라고 영문이름이 되며, 철판으로 제작된 박스형태의 거더를 현장에서 고장력볼트, 리벳이나 용접이음으로 조립하고 크레인 등 인양장비를 이용하여 교각 위에 거치한 후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부슬래브를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완성하는 교량을 말합니다. 강박스 거더교는 스틸박스 거더교 또는 강합성 ..
[교육자료] 교량구조물_콘크리트교량 상당히 많은 토목과 관련된 구조물이 많은데, 그 중에서 토목구조물을 교량과 기타구조물의 관점에서 분류를 해보고 알고 있는 상식선에서 개략적인 구조물의 내용을 정리하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토목에서 설계하고 시공하는 구조물의 종류와 특징 등을 간단하게 소개하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콘크리트교 콘크리트교라함은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콘크리트를 주재료로 사용한 교량으로 강교에 비해 유지관리는 편하지만 중량이 크지만, 현재는 고강도 또는 경량의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단면도 엷게 중공으로 하며, 또한 조립형식의 신공법의 개발 등으로 경간이 긴 프리스트레스트(Prestressed) 콘크리트교를 가설을 많이 한다. 라멘교 라멘교(rigid-frame bridge)는 주교체에 라멘구조를 시공한 형태의 다리를 말합니..
[교육자료] 교량의 인식 얼마전 흔들리는 마음을 잡고 교량의 인식에 대한 자료를 정리하고 공유함으로써 좋은 정보를 정리하고자 합니다. 교량의 개요, 교량공학의 발전 등 교량의 인식에 관련된 내용을 정리합니다. 교량의개요 인류는 유사이래 자연에 순응하고 이를 극복하면서 생활을 영위하여 왔다. 최초의 인류는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돌다리 또는 쓰러진 나무를 이용하여 계곡이나 하천을 이동하고, 식량등을 운반하였으나, 통행에 장애가 되는 강, 하천, 계곡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교량이 필요하게 되었다. 인간들은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인적, 물적 자원을 운반하는 것에 항상 관심을 가져왔다. 초기에는 강가를 중심으로 정착하면서 물이 갖는 지역적인 차단성을 극복하고, 이웃지역과의 연결을 위하여 가급적 수로(바다, 강, 호수등)를 이용하였으며, 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