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

(494)
시공현장에서 만난 테트라포드 총정리하기 얼마전 현장에서 만난 테트라포드(Tetrapod, T.T.P)의 종합적인 내용을 정리하고, 관련된 내용 중 중요한 부분을 요약하고 알아보는 글을 작성해 봅니다. 필요하신 분들께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테트라포드의 정의 테트라포드(Tetrapod, T.T.P)는 가지(pod)가 4개(tetra) 달린 마름쇠 모양 콘크리트 구조물로, 방파제에서 파도의 에너지를 흡수하는 역할을 맡습니다. '테트라포드', '티티피', 'T.T.P'라고 흔히들 부르기도 합니다. 테트라포드처럼 여러개 쌓아서 방파제를 건설하는 형태의 구조물을 소파블록(wave-dissipating block)이라고 하는데, 테트라포드는 소파블록 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형태입니다. 소파블록을 테트라포드만 있는게 아니고 지반에 따라 여..
마이다스로 검증해 본 구조역학_내민보의 반력 구하기 단순보의 반력구하기에 이어서 내민보의 반력을 구하는 문제를 마이다스를 통해서 이것저것 실제로 맞는지를 간단하게 검증해 보겠습니다. 정역학의 단순보 반력을 구하는 것과 대등하게 내민보(overhanging beam)의 반력을 구하는 것도 기본 중에 기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내민보의 반력 구하기 예제 내민보 반력구하기 예제 (구조역학_양창현_예제 2.2) 보는 것처럼 캐드(AutoCad)를 통해서 20개의 절점(Node)와 19개의 Element를 가지고 작성을 하였습니다. 1m당 잘라서 작성을 하였습니다. 4,000m에 15tonf의 집중하중이 작용을 하고, 8,000m부터 4,000m에 등분포하중(3.0tonf/m)이 작용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4,000m의 내민부분과 위쪽으로 3,000m의 부..
AutoCad 기본명령어 정리하기 처음 캐드(AutoCad기준)를 접하시는 분들이 알아야 할 것은 바로 명령어를 알아야 합니다. 얼마나 많은 명령어를 알고 작업을 하면서 머리 속에서 기억이 나는가에 따라서 작업의 속도가 달라집니다. 인터페이스가 좋아진 요즘 캐드들은 명령창을 찾아서 작업을 할 경우 속도가 느려지지만, 꾸준히 명령어를 공부하고 기억한다면 상당히 좋은 작업속도를 가지고 능률을 올릴 수 있습니다. 기본 명령어 리스트 1. NEW: 새로운 도면을 시작한다. → 새로 작성될 도면에 대한 Inch(영국식) 단위와 mm(십진법)단위를 설정한다. → 신속 설정과 고급 설정을 사용하여 도면의 단위,각도,도면의 크기 등을 설정한다. 2. SAVE: 현재 작업중인 도면을 저장한다. 3. SAVETIME: 도면 자동 저장 시간을 설정한다. →..
마이다스로 검증해 본 구조역학_단순보의 반력 구하기 양창현 교수님의 수업을 직접 들었던 기억이 가물가물합니다. 고인이 되셨던 교수님의 수업을 들을 때는 정말 정말 공부가 싫었는데, 이렇게 다시 책을 펼쳐보니 새삼스럽고 더 열심히 해야 할 것 같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 정역학의 단순보 반력을 시작으로 구조역학의 하나하나를 마이다스라는 해석 프로그램을 통해서 검증해 보고, 수작업으로 계산도 실제로 해보고 하나하나 내용을 만들어 볼까 합니다. 단순보의 반력 구하기 예제 보는 것처럼 단순보를 12개의 Element로 나누고, 절점(Node)는 13개로 만들어서 작성한 단순보의 모습입니다. 이곳에 6.000m에 2 tonf/m의 등분포하중이 작용을 하고, 경사진 30 tonf의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단순한 구조 system을 풀이하는..
X축과 Y축 다르게 SCALE 값주기 캐드 작업을 열심히 하다 보면 평면상에서 X축과 Y축의 SCALE을 다르게 주어서 변경해야 할 경우가 많이 발생합니다. 그럴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하는 캐드 리습을 공유하고, 그에 대한 간략한 시현 동영상과 설명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부족하지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리습 적용 시 체크사항 1. "appload"명령어로 꼭 리습을 띠워야만 실행이 됩니다. 한 번을 로드하든 항상 로드하든 설정을 하셔야 합니다. 2. 리습파일이 존재한 폴더가 "options"명령어 상에 신뢰할 수 있는 폴더에 등록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시현되는 객체는 얼마 전 작업을 진행했던 앉음 뱅이 교대를 가지고 X축과 Y축의 Scale을 다르게 하여 변경을 해 보겠습니다. 명령어와 옵션들 명령어 : XZ 옵션들 : 1. 기준점 ..
[토목자료] PHC 파일의 정의와 특징 설계를 진행하다가 보면 말뚝 중에 PHC말뚝(파일)에 대한 내용을 들어보곤 합니다. 이에 PHC파일의 특징과 구조성능 등 다양한 자료를 정리해 봅니다. PHC 파일 PHC 파일은 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s의 약자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78.5MPa 이상의 프리텐션을 주어 콘크리트의 휨과 인장력에 약한 부분을 보완한 원심력을 응용해 만든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을 의미합니다. PHC 파일은 충격에 강하고 내구성이 높으며 양생기간이 짧아 대량공급에 유리하고, 건축물의 지반보강 공사에서 시공비를 절약하면서 공기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로 경제적인 공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HC 파일의 특징 1. 지지력 : PHC 파일의 제작시 압축 콘크리트 설계기준 강도..
[설계자료] 교량 하부계산서 목차 리스트 설계를 진행하다가 보면 구조계산서의 목차에 대한 참고자료가 필요할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이때, 참고를 하라는 의미에서 정형화된 교량하부계산서의 목차를 리스트화하여 공유합니다.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 내진설계 목차 내진설계시 첨부되는 구조계산서의 목차입니다. 설계기준, 단면제원, 하중재하, 모델링, 모드형상, 응답스펙트럼해석 등등에 대한 리스트입니다. 내진설계 구조계산서 목차 설계조건, 종단면도, 단면특성, 기초의 스프링계수, 구조해석 모델링, 고유치해석, 응답스펙트럼 해석, 설계지진력의 조합, 지진시 변위등 다양한 해석의 리스트를 제시하는 구조계산서 목차입니다. 교각 하부계산서 목차 설계조건, 적용단면, 작용하중 및 위치, 사용하중 및 극한하중 조합, 하중조합, 안정검토, 기초단면설계, 기둥검토, ..
[토목자료] 철근콘크리트의 설계방법 및 비교 항상 헷갈리는 부분이 철근콘크리트 설계 방법에 대한 확실한 내용과 비교 내용이다. 간단히 정리를 해 보고, 이에 대한 이해를 구해본다. 허용응력 설계법 응력 분포를 편의상 압축 측에서 3각형으로 가정하고 인장 측 콘크리트의 응력을 무시하며 전 인장력은 인장 철근만으로 부담하는 탄성 이론에 의하여 계산하는 방법 1) 탄성 이론의 성립 조건 (1) 베르누이의 가정 : 보축에 직각인 단면을 휨을 받아 변형된 후에도 평면 유지 (2) Hooke의 법칙 : 응력과 변형도의 정비례 (3) 나비에의 가정 : 단면 내의 임의점의 응력은 중립 축으로부터 거리에 비례 2) WSD의 기본 가정 (1) 변형은 중립 축으로부터 거리에 비례 (2)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는 정수이다. (3) 콘크리트의 휨 인장 응력은 무시 강도 설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