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목설계

[토목구조] 용어정의 가속도계수

728x90
728x90

참고 : 교량설계 일반사항(일반설계법)

1. 정의 (설계기준, 교량설계 일반사항)

가속도계수 : Acceleration Coefficient)

1) 정의 : 내진설계에 있어서 설계지진력을 산정하기 위한 계수로서 지진구역과 재현주기에 따라 그 값이 다르다.

2) 정의 : 지진위험도를 표시할 때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계수로서 보통 중력가속도(g)와 같이 붙여 쓴다. 

예를 들면, A X g에서 A가 가속도계수이고, Axg는 최대수평지반가속도를 나타낸다.

3) 지진계의 종류?

지진계는 지진의 규모와 위치 등을 분석하기 위한 장비로 센서와 기록계로 구성되어 있다.

센서는 지반의 운동을 감지하는 장치이고, 기록계는 지진자료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지진계는 사용목적에 따라 역할이 다르며 속도계와 가속도계로 나눌 수 있다.

- 속도계 : 지진의 규모, 발생깊이, 발생위치, 시각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 가속도계 : 지반이나 건축물의 진동을 관측하기 위한 지진계로 진동의 크기를 수치화하여 주로 진도 산출에 활용되며, 가속도값을 건축에 필요한 내진설계의 중요한 요소로 사용된다.

또한, 지진계는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초광대역, 광대역, 단주기 지진계로 나눈다.

- 초광대역 지진계 : 굉장히 넓은 주파수 범위의 지진파를 감지하고 지진계로 장주기파의 원거리지진과 표면파를 관측하여 지구의 자유진동 연구에 사용된다.

- 광대역 지진계 : 넓은 주파수 범위의 지진파를 감지할 수 있어 국지지진 및 원거리지진을 모두 관측할 수 있다.

- 단주기 지진계 : 고주파의 지진파를 감지하여 국지지진 관측에 용이하다.

728x90
728x90